나만의닥터
앱 다운로드

질환백과 > 호흡기질환 > 급성 기관지염

급성 기관지염

정의
원인
증상
진단/검사
치료/약물
합병증
예방
tag

급성 기관지염?

급성기관지염이란 바이러스, 세균 등의 병원균이 기관, 기관지에 침입하여 급성 염증 반응이 일어난 것을 의미합니다. 특히 급성 전염병의 경과 중 많이 볼 수 있다고 합니다. 주로 면역력이 약한 연령층에게서 많이 발병되며, 감기와의 차이는 감염된 부위의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감기는 상부호흡기계, 급성기관지염은 하부호흡기계의 기관지가 감염된 것입니다.
tag

급성 기관지염 원인

감기, 상기도감염과 마찬가지로 급성 기관지염의 주된 원인은 바이러스입니다. 세균성 감염 또한 급성 기관지염이 유발되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tag

급성 기관지염 증상

급성기관지염이 발생할 경우 오한, 두통, 식욕 부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기관에 염증이 생기기 때문에 점막이 붓고 점액이 분비되어 기침, 가래가 유발되며 기침을 할 때는 가슴에 동통, 가려움증, 작열감 등을 느낄 수 있습니다. 심할 경우 호흡 곤란이 발생하며 호흡 시 천명음(휘파람이나 피리 소리)이 들릴 수도 있습니다.
tag

급성 기관지염 치료•약물

급성 기관지염은 증상에 대한 기본적인 문진 및 신체 검진을 통해 진단이 가능하기 때문에 특별히 추가적인 진단적 검사를 필요로 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간혹 기관지염이 폐렴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흉부 X-ray 촬영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tag

급성 기관지염 치료•약물

치료 대부분 바이러스성 감염이기 때문에 비스테로이드 소염제, 진해거담제 등 증상을 조절하기 위한 약물 치료를 합니다. 그 외의 추가적인 치료는 보통 필요하지 않으며, 일부 세균성 감염의 경우에는 만약 증상이 심하다면 항생제 치료를 필요로 할 수 있습니다.
tag

급성 기관지염 합병증

대부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호전되지만, 노약자나 심폐 질환이 있는 경우 폐렴으로 발전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tag

급성 기관지염 예방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평상시의 생활습관입니다. 평소 수분을 충분히 섭취해야 하며 적절한 온도, 습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손씻기와 같이 개인 위생을 준수하는 습관도 중요하며, 흡연이나 미세먼지 등 호흡기에 좋지 않은 환경에 자주 노출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실내 공기 또한 깨끗하게 유지해야 합니다.
  • 나만의닥터는 특정 약품 추천 및 권유를 위해 콘텐츠를 제작하지 않습니다.
  • 콘텐츠의 내용은 의사 및 간호사의 의학적 지식을 자문 받아 활용했습니다.
  • 그 외 출처 : 아산병원
webFloatingButtonDesc

webFloatingButtonName